![](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fCpBx/btq1KA7BAyv/B704gsGi6voIXdjOm8Jso0/img.png)
송내1-1 구역이 현재 재건축이 진행하려고 합니다. 위치는 중동역과 송내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총 12개동 1045세대이며 대우건설(푸르지오)가 들어 올 계획입니다. 1단지와 2단지로 나누어질 예정이며 단지별은 큰차이는 없을 것이로 보입니다. 그리고 현재 조합원분양가는 59는 4억3700만원 그리고 84는 6억원입니다. 아직 이주가 되지 않은 상태이고 관리처분인가를 받아야 해서 투자를 결정하실분은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현재는 조합원 가격 정도에 매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매물은 현장에 가보시고 확인이 필요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OdisL/btq1E8wj6UT/GKMI1abqxpIUoupK0co2dK/img.png)
광명시는 많은 인접한 도시의 중심적 위치에서 근접성이 탁월합니다. 고속철도가 있으며 현재 수도권 서남부 지역이 개발로 인하여 교통의 허브로 부상되고 있습니다. 1960년대 이후부터 주택치로 조성된 도시이므로 노후화가 한계에 도달되어 재개발, 재건축이 절실히 요구 되는 설정입니다. 광명 도시재정비 촉진지구는 광명사거리역이 입지하여 역세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역세권 배후 주거지로서 역할이 기대되는 지역이고, 사업지구내 도로. 공원, 학교 등 기반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도덕산 주변은 경사로 인하여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실정임. 광역적 차원의 접근을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함 2007. 7. 30 광명재정비촉진지구 지정, 고시 2009. 12. 4 광명지구 재정비촉진계획 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ZTpXY/btq1C1LjJaq/S06w478QR4Y9lY1AtpDxZk/img.png)
국토교통부는 모든 지표에서 주택시장 안전 흐름을 포착하였으며 주택구입 부담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주택버블이 경고 될 가능성이 있어 사상 최대 공급 지속을 전망하기 위해 수도권 180만호 이상으로 전국에 200만호 이상 압도적으로 공급 할 계획이라고 발표합니다. 선전한 지역 리스트를 보면 눈에 띄는게 노후도입니다. 항상 재개발이나 재건축을 따질때 노후도를 보는데 재건축은 최소 30년이상 안전진단을 통해서 진행이 결정될 수 있지만 재개발은 그 지역이 전체적으로 얼마나 많은 구축 비율이 높은가를 따질 것입니다. 이런 노후도를 볼 수 있으면 좀 더 좋을 것입니다. www.bdsplanet.com/ 위와 같이 부동산플래닛에 들어 가시면 해당 지역의 노후도를 알 수 있습니다. 용도지역 1~2단계 종 상향을 통해 용적..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RTreo/btq1pz2Tudy/Nfag2R4OWjn5BVjxefVgp0/img.png)
현재 서부선은 계획단계 입니다. 사업구간은 새절역~ 서울대입구역까지 지하 16개역으로 만들어질 예정이고 여의도에서 신림선과 연결이 됩니다. 2000년부터 계획으로 잡혀서 시작된 사업이며 현재 국토교통부에 고시되어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고시 되었습니다. 2021~2023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및 협상 실시 협약 체결 및 실시설계 시행 2023~2028 착공 2028 개통 향후 개통까지는 10년은 남지 않았으나 계획은 앞당겨지기 보다는 늘어 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래도 언젠가 서부선이 완공될 것입니다. 노선을 보면 서울 중심을 관통하는 노선으로서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 됩니다. 새절역에서 서울대입구까지 이동시간이 현재는 1회 환승으로 36분이 걸리지만 서부선을 타게 되면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GhZ5I/btq1ovM3AxO/PqbIfeW771eoFifUXzVIA0/img.png)
목동11단지는 30년이 지난 아파트로 재건축 기본 계획을 수립후 안전진단을 받게 되었습니다. 예비안전진단 -> 정말안전진단 -> 적정성 검토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민간 용역업체가 수행하는 2020년 6월에 정말안전진단에서 조건부 통과(D등급)가 되었습니다. 조건부 통과이기에 민간용역업체가 아니라 공공기관에서 시행하는 2차 정밀안전진단(적정성검토)에서 C등급을 받아 탈락이 되었습니다. 2014년 9월에 국토부에서 재건축건축법안을 변경하여 재건축연한을 40년에서 30년으로 단축하였으며안전진단 D, E등급을 받을 시 예외적으로 즉시 재건축 허가를 내주는 법안을 통과되어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습니다. 목동 11단지 가격 그래프를 보시면 파도가 있었으나 상당히 많이 오른 것으로 보입니다. 역시 목동은 다르네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rQ1kW/btq1jkYVxys/H0ZaScRHifZwbJ7cBKAI10/img.jpg)
이번 정부의 2차 공공재개발 발표에 한남1구역이 없습니다. 한남 뉴타운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었지만 한남1구역이 정비구역에서 빠짐으로써 이번 공공재개발에 추가될런지 궁금했으나 이번 발편에 편입되지 않았습니다. 한남2~5구역 중 한남3 구역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조만간에 다른 구역도 잘 진행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한남1구역 토지소유주 중 일부가 지분쪼개기로 인한 동의율 왜곡 등을 이유로 재개발을 반대한 것이 미선정된 가장 큰 이유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 역시 시간이 지나면 결국 재개발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과거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서울 시장이였던 당시 뉴타운으로 지정되었지만 이후 토지 소유주들의 반대로 2016년 뉴타운 구역에서 해제되었으면 이후 2020년 8월4일 대책을 통해 공공재개발 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ySYF4/btq1g9QHTEc/2G7P0EXs4LhCpfxsEsbZGk/img.png)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와 서울특별시(서울시장 권한대행 서정협)는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방안 (‘20.5.6.)에 따라 도입한 공공 재개발 시범사업의 2차 후보지 16곳을 29일 선정․발표하였다. 이번 후보지 심사는 지난 해 국토부․서울시 합동 공공재개발 후보지 공모(`20.9.21.~11.4)에 참여한 70곳 중 새롭게 재개발사업을 시작하려는 노후주거지 56곳 가운데 자치구가 최종 추천한 28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번에 선정된 후보지들은 주로 역세권, 5만㎡이상 대규모 노후 주거지로, 공공의 참여, 지원 하에 계획대로 사업을 완료하게 될 경우 서울 도심에서 약 2만호를 공급할 수 있을 전망이다. 공공재개발 후보지 선정사례 언급한 4곳입니다. - 장위8은 `06년 장위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되어 `1..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grsSD/btq1jlDizoZ/TMdktMdkWS2XkYtQA8DsF1/img.png)
시흥 장현지구는 오래전부터 개발이 되어 왔습니다. 그럼 살펴 볼까요. 연혁을 살펴 보면 2004. 06. 18 지구지정제안 2006. 07. 11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2008. 09. 03 보상개시 2009. 12. 30 보금자리주택지구의 주택지구변경 및 지구계획변경 승인 2013. 하반기 대리조성공사 착공 2015. 11. 18 공공주택사업지구 지구지정변경 및 지구계획변경 승인 2017. 06. 15 시흥장현 공공 주택 지구계획 변경(3차) 승인 2018. 12. 10 시흥장현 공공 주택 지구계획 변경(4차) 승인 2019. 08. 13 시흥장현 공공 주택 지구계획 변경(5차) 승인 2020. 11. 16 시흥장현 공공 주택 지구계획 변경(6차) 승인 2021. 12. 31 사업 준공 현재 장현지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