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GhZ5I/btq1ovM3AxO/PqbIfeW771eoFifUXzVIA0/img.png)
목동11단지는 30년이 지난 아파트로 재건축 기본 계획을 수립후 안전진단을 받게 되었습니다. 예비안전진단 -> 정말안전진단 -> 적정성 검토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민간 용역업체가 수행하는 2020년 6월에 정말안전진단에서 조건부 통과(D등급)가 되었습니다. 조건부 통과이기에 민간용역업체가 아니라 공공기관에서 시행하는 2차 정밀안전진단(적정성검토)에서 C등급을 받아 탈락이 되었습니다. 2014년 9월에 국토부에서 재건축건축법안을 변경하여 재건축연한을 40년에서 30년으로 단축하였으며안전진단 D, E등급을 받을 시 예외적으로 즉시 재건축 허가를 내주는 법안을 통과되어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습니다. 목동 11단지 가격 그래프를 보시면 파도가 있었으나 상당히 많이 오른 것으로 보입니다. 역시 목동은 다르네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rQ1kW/btq1jkYVxys/H0ZaScRHifZwbJ7cBKAI10/img.jpg)
이번 정부의 2차 공공재개발 발표에 한남1구역이 없습니다. 한남 뉴타운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었지만 한남1구역이 정비구역에서 빠짐으로써 이번 공공재개발에 추가될런지 궁금했으나 이번 발편에 편입되지 않았습니다. 한남2~5구역 중 한남3 구역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조만간에 다른 구역도 잘 진행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한남1구역 토지소유주 중 일부가 지분쪼개기로 인한 동의율 왜곡 등을 이유로 재개발을 반대한 것이 미선정된 가장 큰 이유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 역시 시간이 지나면 결국 재개발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과거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서울 시장이였던 당시 뉴타운으로 지정되었지만 이후 토지 소유주들의 반대로 2016년 뉴타운 구역에서 해제되었으면 이후 2020년 8월4일 대책을 통해 공공재개발 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ySYF4/btq1g9QHTEc/2G7P0EXs4LhCpfxsEsbZGk/img.png)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와 서울특별시(서울시장 권한대행 서정협)는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방안 (‘20.5.6.)에 따라 도입한 공공 재개발 시범사업의 2차 후보지 16곳을 29일 선정․발표하였다. 이번 후보지 심사는 지난 해 국토부․서울시 합동 공공재개발 후보지 공모(`20.9.21.~11.4)에 참여한 70곳 중 새롭게 재개발사업을 시작하려는 노후주거지 56곳 가운데 자치구가 최종 추천한 28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번에 선정된 후보지들은 주로 역세권, 5만㎡이상 대규모 노후 주거지로, 공공의 참여, 지원 하에 계획대로 사업을 완료하게 될 경우 서울 도심에서 약 2만호를 공급할 수 있을 전망이다. 공공재개발 후보지 선정사례 언급한 4곳입니다. - 장위8은 `06년 장위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되어 `1..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grsSD/btq1jlDizoZ/TMdktMdkWS2XkYtQA8DsF1/img.png)
시흥 장현지구는 오래전부터 개발이 되어 왔습니다. 그럼 살펴 볼까요. 연혁을 살펴 보면 2004. 06. 18 지구지정제안 2006. 07. 11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2008. 09. 03 보상개시 2009. 12. 30 보금자리주택지구의 주택지구변경 및 지구계획변경 승인 2013. 하반기 대리조성공사 착공 2015. 11. 18 공공주택사업지구 지구지정변경 및 지구계획변경 승인 2017. 06. 15 시흥장현 공공 주택 지구계획 변경(3차) 승인 2018. 12. 10 시흥장현 공공 주택 지구계획 변경(4차) 승인 2019. 08. 13 시흥장현 공공 주택 지구계획 변경(5차) 승인 2020. 11. 16 시흥장현 공공 주택 지구계획 변경(6차) 승인 2021. 12. 31 사업 준공 현재 장현지구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ElVCT/btq1atoAaWh/y2EqujKTfBiFnERwscAtaK/img.png)
서울시는 21년 3월 18일 신림동 110-10 용도를 준주거지역 -> 근린상업지역으로 변경한다고 합니다. 여기 완전 역세권이며 예전에는 마트자리였습니다. 도림천을 따라서 신림선이 완공되어 주변이 계속 오를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현재는 빈땅이 경전철역을 만들고 있으며 청년들의 삶터와 일터가 어울러질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한다고 합니다. 밑으로는 신림1, 2, 3 재개발을 하고 있으니 더욱 이 지역의 변화를 계속 될 것으로 전망이 됩니다. 주변을 살펴 보면 서울대주변 제1종 지구단위 구역을 보입니다. 여기가 향후에 어떻게 될까요? 역세권 주변이고 재개발 주변이니 더욱 더 가치 상승이 보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2020 12월 17일에 신림동 240-3에 413세대 청년주택 공급 촉진지구로 지정되었습니다. 공..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t4kYe/btq09zByjtr/lfY1K7zxrZeXKKZvGzC4xK/img.png)
최근에 아파트 가격 상승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 상승세가 시작한 시점과 비교하였습니다. 이제 상급지를 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보면 좋을 듯 합니다. 여저히 강남구는 1등입니다. 노도강, 금관구, 마용성이 보이네요. 이제 서울 지도를 보면서 다시 살펴 보겠습니다. 서울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입니다. 마포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영등포구, 동작구 라인입니다. 이들 구의 특징은 한강 따라 있는 구이고 그리고 대중교통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이번 아파트 상승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곳은 바로 노원구입니다. 노원구가 최근에 가장 많이 오른 곳입니다. 노원구는 상계동 개발, 동북선 공사중, 구축 주공 아파트 재건축시기가 다가 옴에 따라서 엄청난 기대감이 있는 장소가 되었습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v60pq/btq0XoAjhom/kcaHEDw8AeaSKu0ueT8rgK/img.png)
현재 서울 경전철 난곡선은 구상단계입니다. 진행상황은 20년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2000년 서울특별시 교통정비중기계획에 포함 2005년 난곡 신교통수단 건설 기본 계획 수립 2020년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822호 > 제2차 서울특별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고시 신대방역으로부터 난향초등학교까지 연결되는 노선으로 난향동에는 대중교통 시대가 열리게 되는 계획입니다. 신림선이 막바지 공사중에 있습니다. 내년초에 신림선이 개통이 될 예정이고 이후 난곡선도 착공에 들어 갈 예정입니다. 난곡선, 신림선 그리고 서부선까지 연결이 되면 정말 교통의 요람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선거(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는 난곡선을 더 연장 공약이 나왔네요. 난곡선이 연장되어 금천구청역까지 연결이 되면 교통이 엄청..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qqwy3/btq0VoNFrUq/Q4WT2xAnIxY6EhoPm7Jr60/img.jpg)
오래전의 기사를 보면 20년전에 기사부터 후암동 개발 이야기가 나옵니다. 아마도 더 오랜 기사도 있을 것입니다. 정말 오랫동안 개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후암동 위치를 살펴 봅시다. 위치는 상당히 좋습니다. 서울역 바로 옆이고 GTX 지나갈 계획이고 남산옆이라 숲세권으로도 아주 좋습니다. 이런 좋은 땅을 아직도 개발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심지어 주변은 개발 계획이 있으며 후암동에는 주거환경개선지구 정도만 지정되었습니다. 한번 자세히 살펴 보기 위해 서울 도시계획을 찾아 보았습니다. 도시계획에서 눈에 띄는것이 있습니다. 후암동 특별계획구역과 고도지구 입니다.여기는 개발행위허가가 제한지역이여 개발을 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후암동 특별계획구역 및 용산공원 북쪽 일대 지구단위계획을 2015년 서울시 고시로..